• 최종편집 2024-04-13(토)
 
여성인력 활용 가능성이 높은 3대 직종인 문화콘텐츠, 산업 R&D(연구개발), ICT(Information&Culture Technology· 정보문화기술) 분야 현장의 일·가정 양립 실태 모니터링 결과, 유연근무 확산과 보육인프라 확충 필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장관 김희정)는 11월 24일 오전 10시 서울 플라자호텔(중구 소공로 소재)에서 ‘2015년 여성의 경력유지 및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모니터링 성과포럼’을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정책모니터링 결과를 공유했다.

여성가족부는 정부 핵심 개혁과제인 ‘일·가정 양립’을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과 함께 지난 5월 관계부처, 지방자치단체, 연구기관 등으로 합동 모니터링단을 구성하고, 현장 애로사항을 점검을 통해 개선을 추진해 왔다.

3개 분야(문화콘텐츠, 산업 R&D, ICT)에 대한 직종별 모니터링 결과, 여성인력 활용성은 높지만 아직 여성고용률이 저조하고, 사업체가 영세할수록 일·가정 양립정책 기반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여성인력 비율 : 문화콘텐츠(’12년 기준 : 애니메이션 41.6%, 캐릭터 48.1%, 게임 26.1%), 산업 R&D 기업연구소 여성연구원(’12년 기준 : 13.8%), ICT(’13년 기준 : 약 18%)

문화콘텐츠 분야(애니메이션, 캐릭터, 게임산업)는 전반적으로 일·가정 양립 정책 인지도가 낮았으며, 산업 R&D·ICT 분야 사업체들의 경우 100인 미만 사업체의 육아휴직 도입률은 60%, 배우자 출산휴가는 58%에 그치는 등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을수록 모성보호 제도 도입률이 저조했다.

이에 따라, 시장 변화속도가 빠른 업계 특성을 감안할 때 장기간 육아휴직은 어렵더라도 재택근무·스마트워크(원격근무) 등을 활용한 유연근무제를 확산시키고, 직장어린이집 등 보육기반을 확충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모니터링단은 이 같은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이날 성과포럼에서 근로시간 저축휴가제 도입, 자율출퇴근제 확산, 가족친화인증제도 인센티브 확대 등을 정책과제로 제안했다.

5개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을 대상으로 한 지역 모니터링 결과, 일·가정 양립 정착에 앞장서는 지역 중소기업 사례가 다수 발굴됐다.

출자·출연기관의 경우, 일·가정 양립 제도 확산을 위해 경영평가지표에 가족친화경영 또는 관리직 여성비율 반영을 추진하고, 임신·출산 관련 고충처리 기구를 설치한 사례가 눈에 띄었다.

여성가족부는 이날 성과포럼에서 논의된 우수사례를 적극적으로 확산시키고, 제안된 정책과제들은 관계부처와 공유해 구체적인 정책화 방안을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권용현 여성가족부 차관은 환영사를 통해 “저출산·저성장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사회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여성인재 활용이 필수적이고, 이를 위해서는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여건이 먼저 조성돼야 한다”고 밝히고, “앞으로도 지속적인 현장점검 및 고충상담을 통해 국민들의 일·가정 양립의 애로요인을 파악하고, 실질적인 정책개선을 통해 국민 모두가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일·가정 양립 기반을 조성하는 데 더욱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2015년 여성의 경력유지 및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모니터링 성과포럼 개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