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스Home >  뉴 스 >  IT VIew
실시간뉴스
실시간 IT VIew 기사
-
-
도시바 일렉트로닉 디바이스 앤 스토리지, 스마트폰의 저잡음 RF 증폭기에 사용되는 저잡음지수 SOI 프로세스 개발
- 도시바 일렉트로닉 디바이스 앤 스토리지(Toshiba Electronic Devices & Storage Corporation)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저잡음 증폭기(LNA)에 최적화된 차세대 TarfSOITM[도시바 첨단 RF SOI(실리콘-온-인슐레이터[1]) 프로세스인 ‘TaRF10’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최근 몇 년 동안 모바일 데이터 통신 속도가 점점 빨라짐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아날로그 전단(front end, 前端)에서 RF 스위치 및 필터를 사용하는 범위가 늘어났다. 그 결과 안테나와 수신기 회로 간 신호 손실(signal loss)이 커져 수신기의 감도가 저하되었다. 이런 신호 손실을 보전하고 수신되는 신호의 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잡음지수(NF)가 낮은[2] LNA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도시바 일렉트로닉 디바이스 앤 스토리지는 새로운 TaRF10 프로세스를 사용해 주파수 1.8GHz에서 0.72데시벨(dB)이라는 현저히 낮은 잡음지수와 16.9dB의 게인(gain) [3]을 나타내는 LNA 시제품을 개발했다. 모바일 기기는 수신기 회로에서 다양한 RF 스위치와 LNA를 사용하는데 보드 면적 사용을 줄이기 위해 회로 크기를 작게 해야 할 필요성이 생겨나게 된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LNA는 일반적으로 실리콘-게르마늄-탄소(SiGe:C) 양극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각기 다른 프로세스로 조립된 LNA와 RF를 동일한 칩에 통합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신제품 TaRF10 프로세스는 하나의 단일 칩에 LNA와 제어회로 및 RF 스위치를 통합시킬 수 있는데 이는 RF 스위치의 TaRF8 및 TaRF9 프로세서와의 호환성이 뛰어나고 우수한 RF 특성을 온전히 유지시켜주기 때문이다. TaRF9는 TaRF8에 비해 삽입 손실(insertion loss)과 신호 왜곡 현상이 적다. 도시바 일렉트로닉 디바이스 앤 스토리지는 통합 RF 스위치를 장착한 LNA를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다. 도시바 일렉트로닉 디바이스 앤 스토리지는 자회사인 재팬 세미컨덕터(Japan Semiconductor Corporation)를 통해 최신의 SOI-CMOS 기술을 적용한 RF IC(무선주파수 집적회로)를 개발했고 RF 프로세스 기술 개발에서 설계 및 제조에 이르기까지 생산 과정의 모든 면을 망라함으로써 신속하게 제품을 출시하는 쾌거를 이루어냈다. 회사는 5G 스마트폰에 요구되는 차세대 시장 수요에 부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TarfSOITM 프로세스의 특성을 보완 개선하고 첨단 기술을 활용해 RF IC를 발전시켜 나가게 된다. 표 1. LNA 주요 사양(pdf 참조. 다운로드: https://goo.gl/qwFs4w) 주: [1] TarfSOITM (도시바 첨단 RF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 도시바 고유의 SOI-CMOS (silicon-on-insulator-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상보형 금속산화반도체) 전단 프로세스 [2] 잡음지수: 입력 시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한 출력 시 신호 대 잡음비의 비율. 잡음지수가 낮을수록 증폭기 자체 잡음이 낮아져 효율성이 더 높아진다. [3] 게인(Gain): 증폭기의 입력전력에 대한 출력전력의 비율로 데시벨(dB)로 표시.
-
- 뉴 스
- IT VIew
- 인터넷/정보통신
-
도시바 일렉트로닉 디바이스 앤 스토리지, 스마트폰의 저잡음 RF 증폭기에 사용되는 저잡음지수 SOI 프로세스 개발
-
-
한국관광공사와 손잡고 T맵으로 여행가는 10만명에게 선물 쏜다
-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이 한국관광공사(사장직무대행 강옥희)와 함께 겨울 여행을 떠나는 T맵 고객을 위해 3월 18일까지 총 10만명을 추첨해 선물을 제공하는 ‘겨울 여행 탁! 보물이 팡!’ 이벤트를 실시한다. SK텔레콤과 한국관광공사는 국내 겨울여행 활성화를 위해 업무 제휴를 맺고 내비게이션 서비스 T맵을 이용해 여행을 떠나는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응모에서 당첨까지 한번에 이뤄지는 즉석 경품 이벤트를 준비했다. 고객이 T맵을 실행해서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230여개의 관광지 중 한 곳을 목적지로 정하면 자동으로 즉석 경품 이벤트에 응모된다. 이후 목적지에 도착하면 즉석에서 베니키아 호텔 숙박권(250명), 문화상품권(5천명) 또는 편의점 상품권(10만명) 등의 당첨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경품에 당첨되지 못해도 별도 이벤트에 참여하면 기아 올 뉴 모닝(1명), 아이패드 프로 10.5(3명), 누구 미니(150명) 등을 추첨을 통해 받을 수 있다. 이벤트 기간 중 여러 관광지를 방문하여 방문 인증 횟수가 늘어날수록 추가 경품 당첨 확률이 높아진다. 이번 이벤트는 통신사 관계없이 T맵을 이용하는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당첨 여부는 이벤트 기간 후 3월 20일에 문자메시지로 전송할 예정이다. 한편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경품당첨의 행운을 얻을 수 있는 230개의 국내 대표 관광지는 T맵 내의 이벤트 페이지와 한국관광공사 ‘겨울 국내여행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SK텔레콤 이해열 카라이프(Car Life)사업 유닛장은 “T맵을 이용해 국내 겨울 여행을 떠나는 고객에게 국내의 여행지도 추천하면서 실질적인 경품 혜택까지 드리기위해 이번 이벤트를 기획했다”며 “다양한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해 T맵 고객만이 느낄 수 있는 차별화된 혜택을 지속적으로 강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sktelecom.com
-
- 뉴 스
- IT VIew
- 인터넷/정보통신
-
한국관광공사와 손잡고 T맵으로 여행가는 10만명에게 선물 쏜다
-
-
65인치 초대형 게이밍 모니터 ROG Swift PG65 공개
- 세계 게이밍 모니터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인 ASUS(이하 에이수스)가 1월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되었던 CES 2018 전시회에서 이슈가 되었던 세계 최대의 초대형 게이밍 모니터 ROG Swift PG65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CES 2018 전시회를 통해 첫선을 보였던 초대형 게이밍 모니터 ROG Swift PG65(이하 PG65)는 ‘스마트 시티의 미래’라는 행사 주제에 걸맞게 앞으로 게임 콘텐츠 트렌드가 점점 대형화되는 시점에 맞춘 초대형 게이밍 모니터로 많은 행사 참가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에이수스 PG65는 65인치 기반의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하는 모니터로 NVIDIA의 BFGD(Big Format Gaming Display)를 지원하는 모델이다. 현실감 넘치는 영상 표현을 위해 디스플레이의 인치 수는 무척이나 중요한데, TV의 경우 인치 수는 크지만 게임을 위해 필요한 입력장치와의 연계로 인한 인풋렉으로 인해 빠른 입력 기반의 액션, FPS 게임에서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게임을 위한 G-SYNC 등의 프레임 보정 기술이 적용되지 않았던 측면이 있다. 에이수스의 PG65는 PC 게임을 즐기기 위한 기능을 모두 갖춘 모델로 65인치를 기반으로 NVIDIA의 BFGD 지원을 통한 모니터 수준의 인풋렉 구현 및 4K UHD 해상도에 더해 HDR 기능 탑재와 주사율 120Hz를 지원, 눈에 띄기 쉬운 프레임 찢어짐과 깜빡임을 현격하게 줄여 극강의 매끄러운 화질 구현을 위한 G-Sync 지원 등 게이밍 디스플레이로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밝기는 HDR 규격 중 가장 높은 등급의 1000니트의 밝기를 갖고 있으며 LED 빛을 도광판을 통해 화면 앞으로 분출하여 빛을 통제하던 기존의 모니터와 달리 LED 발광소자가 화면 뒤쪽에 부착되어 HDR 기능을 통한 직접 제어로 완벽한 명암비를 표현한다. 또한 가장 진보된 안드로이드 스트리밍 플레이어인 NVIDIA Shield 내장으로 리모컨과 게임 컨트롤러로 인터페이스를 제어, Youtube, NetFlix, Amazon Video 등 각종 동영상 앱 서비스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NVIDIA GameStream 지원으로 GeForce 그래픽 카드가 장착된 PC에서 게임을 스트리밍할 수 있다. 에이수스 PG65는 120Hz의 높은 주사율을 통해 게임에 적합한 부드러운 프레임을 보여주면서도 DCI-P3 수준의 컬러 영역 지원 및 가변 재생을 통해 동영상 및 영화에서 주로 사용되는 24, 25프레임 속도로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어 감독이나 제작자가 의도한 대로 영상을 표현한다. 에이수스는 ROG Swift PG65가 단순히 크기만 큰 게 아니라 많은 최고급 성능을 더한 점점 대형화되는 게임 콘텐츠 트렌드에 적합한 제품이라며 최상의 게이밍 환경을 원하는 국내 PC 마니아층에게 큰 반향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그 어디에도 없던 에이수스 프리미엄 브랜드 ROG의 세계 최대 초대형 모델로 게이밍 모니터 시장에서 단단한 입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에이수스 개요 에이수스는 세계 3대 컨슈머 노트북 브랜드이자 마더보드 시장 글로벌 1위 기업으로 새로운 디지털 세상을 이끌어 나가고 있는 선도기업이다. 에이수스는 가정 및 사무실, 그리고 개인들이 새로운 디지털 시대를 맞아 원하는 모든 제품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마더보드, 노트북, 넷북, 멀티미디어, 그래픽카드, 디스플레이, 데스크톱 PC, 서버, 무선 솔루션, 휴대폰, 네트워크 기기 등 IT 솔루션을 통해 새로운 디지털 시대의 리더로 우뚝 섰다. 혁신을 기반으로 최고의 품질을 고집해 온 에이수스는 2014년 한 해에만 총 4326개의 어워드를 수상했으며 매출은 약 145억달러에 달한다. 2017년 기준 약 5200명의 R&D 엔지니어를 포함해 1만6천명의 임직원이 전 세계에서 에이수스와 함께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kr.asus.com
-
- 뉴 스
- IT VIew
- 컴퓨터/가전
-
65인치 초대형 게이밍 모니터 ROG Swift PG65 공개
-
-
삼성SDS, 미국 스팟인스트와 클라우드 사업 협약 체결
- 삼성SDS(대표 홍원표)가 아마존, MS, 버투스트림에 이어 미국 실리콘밸리 클라우드 신기술 업체인 스팟인스트(Spotinst)와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CMS: Cloud Managed Service) 사업’ 강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스팟인스트는 클라우드 자원 사용량을 예측하여 고객이 중단 없이 안정적으로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 기업이다. 삼성SDS는 이번 협약으로 스팟인스트의 기술과 자사의 클라우드 통합관리 플랫폼(GOV: Global One View)을 결합해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 수준을 고도화하게 됐다. 고객은 아마존(AWS), MS(Azure) 등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에 각각 접속할 필요 없이 통합관리 플랫폼에서 서버수량/사용률, 데이터 저장용량 등 자원사용 현황과 월별 청구 금액을 한눈에 볼 수 있어 IT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삼성SDS의 인공지능 기능이 적용된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를 통해 클라우드 자원 사용량과 비용을 미리 예상하여 기간별(월별, 반기, 연간) IT 자원 계획을 최적화할 수 있다. 삼성SDS 김호 클라우드 사업부장(부사장)은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 및 국내외 신기술 보유업체들과 협력해 삼성SDS의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 역량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웹사이트: http://www.sds.samsung.co.kr
-
- 뉴 스
- IT VIew
- 컴퓨터/가전
-
삼성SDS, 미국 스팟인스트와 클라우드 사업 협약 체결
-
-
재정정보공개포털 ‘열린재정’ 홈페이지 전면 개편
- 기획재정부는 재정정보 공개포털인 열린재정이 25일(목) 전면 개편됨에 따라 국민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나라살림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의 3대 핵심은 현재 120여종의 재정통계를 160여종으로 확대하고 수치 외에도 그래프, 인포그래픽 등을 통해 이해도를 제고하며, 일반국민, 연구자, 수혜자별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네이버·다음 등 주요 포털을 통한 접근성을 대폭 강화하였다. ◇재정통계 확대 국가채무, 국세통계, 분야별 재원배분 등 160여종의 통계를 그래프·인포그래픽 등과 함께 제공한다. 이와 함께 그동안 부처 홈페이지에서 개별적으로 제공되던 사업별 집행실적을 열린재정에서 통합해서 제공하며 2018년 상반기 중 사업별 설명자료를 추가로 제공할 예정이다. 재정통계와 관련 보고서를 DB화하여 제공하고 어려운 용어 등은 58종의 인포그래픽, 웹툰을 통해 이해도를 제고하였다. ◇맞춤형 정보 확대 천편일률적인 정보제공에서 벗어나 일반국민, 연구자 등 정책 수혜자 특성에 맞는 정보도 확충하였다. 이를 위해 홈페이지 첫 화면을 일반국민, 연구자, 맞춤형 등 3가지로 구분하여 우선 찾는 메뉴를 전면에 제공하고 SNS 등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국민의 관심사를 선제적으로 파악하여 관련 재정사업을 알기 쉽게 분석·제공한다. 또한 국가보조금이나 정부발주사업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수혜정보를 제공하고 8종의 테마통계*와 재정 전문가를 위한 주문형 데이터 제공 서비스**도 신설하였다. * 재정건전성, 재원별 세입예산, 세계잉여금, 2018 예산특징, 국제비교 등 ** 연구자의 요구사항에 맞게 필요한 재정정보를 직접 가공하여 제공 ◇접근성 제고 네이버·다음 등 주요검색포털에서 열린재정을 쉽게 조회할 수 있도록 키워드 검색기능을 개선*하고 데이터랩, 오피니언 등 주요포털의 통계DB에도 자료를 제공하여 이용자의 정보 접근성을 한층 강화하였다. * (기존) 열린재정 1종 → (개선) 국가재정, 나라살림 등 12종 추가 기획재정부 최상대 재정혁신국장은 “이번 열린재정 홈페이지 개편은 복잡하고 어려운 재정정보를 국민들이 보다 손쉽게 검색하고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며 "이를 위해 그동안 대국민 아이디어공모, 전문가 간담회, 시민단체·기자 인터뷰, 선진사례 벤치마킹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의견을 수렴했으며 앞으로도 100여명의 주부·학생·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열린재정 온라인 모니터링단’ 등을 활용하여 홈페이지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mosf.go.kr/
-
- 뉴 스
- IT VIew
- 인터넷/정보통신
-
재정정보공개포털 ‘열린재정’ 홈페이지 전면 개편
-
-
2018년 전자정부 10대 유망기술 발표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2018년 주목해야 할 전자정부 10대 유망기술을 발표했다. 10대 유망기술은 ‘마음을 살피는 맞춤형 행정’, ‘다함께 누리는 체감형 서비스’, ‘신뢰를 만드는 안전한 인프라(기반)’를 구현하고 기술과 서비스 간 융합과 상호작용을 통해 국민을 우선하는 ‘사람 중심’의 전자정부를 제공할 예정이다. 먼저 ‘대화형 인공지능 플랫폼’, ‘온디맨드 빅데이터’, ‘공공 멀티 드론’ 등을 활용하여 유능하고 똑똑한 정부로 거듭난다. 각종 민원행정서비스에 인공지능 기반 대화로봇(챗봇) 서비스가 확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자연어처리 기술 및 음성인식 기술의 발달로 국민과 직접 소통하는 ‘비서형 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다. 또한 주요 정책결정 시 해당분야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해 국민 수요를 미리 파악한 선제적인 정책수립이 가능해지며 군사용, 산림용, 재난재해용, 물류 및 우편, 연예오락(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별적으로 개발된 드론의 기능이 융합되어 다목적으로 활용된다. 다음으로 지능형 전자정부는 지능형도시 사물인터넷, 혼합현실(MR), 비접촉 생체인식 기술 등을 활용하여 전 국민이 차별 없이 누리는 체감형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사물인터넷을 통한 만물의 연결로 자율주행, 스마트그리드 등 지능형도시 구현이 가속화되어 전국 방방곡곡 전자정부서비스를 누릴 것으로 보인다. 혼합현실(MR) 기술을 활용하여 이동이 어려운 국민, 소외계층에게 관광, 교육, 스포츠, 연예오락 등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실감이 극대화된 경험을 주고, 또한 본인인증 수단이 지문인식, 홍채인식, 걸음걸이 등 생체인식, 비접촉 생체인식까지 확장됨으로써 나에게 가장 적합하고 편리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초고속 5G, ‘블록체인 네트워크’, ‘클라우드 활용’이 점차 확대되면서 안심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전자정부 생태계 조성과 미래형 신산업 발굴·육성에도 기여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전자문서를 유통하여 문서 위·변조를 방지하고 국민에게 편리하고 신속한 서비스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정윤기 행정안전부 전자정부국장은 “전자정부가 지능정보기술의 적극 활용을 통해 공공시장을 창출하여 4차 산업혁명을 지원할 것”이라며 “전자정부 기술경향이 올해 전자정부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국민들께 보다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mois.go.kr/
-
- 뉴 스
- IT VIew
- 인터넷/정보통신
-
2018년 전자정부 10대 유망기술 발표
-
-
2018 전자정부, 655억원 투자해 ‘지능형 정부’ 본격 시동
- 올해 전자정부 지원사업의 핵심은 ‘지능형 정부’가 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올해 전자정부 지원사업 예산(869억원) 중 75%가 넘는 655억원을 ‘지능형 정부’ 구축에 투자한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 활용 사업에 5개 과제 305억원, 블록체인 기술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전략 계획 수립 과제 10억원, 클라우드 환경 확산에 6개 과제 198억원을 투입한다. 전자정부 지원사업은 범정부 전자정부 기반 조성, 다수 부처 간 정보 연계 및 협업 등을 통해 정부·국민·기업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정보화사업을 중점 관리·지원하는 사업으로 그 동안 민원24, 조달청 나라장터 등 국민 입장에서 꼭 필요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 행정안전부는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올해 사업 추진 내용을 소개하기 위해 22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정보통신기술(IT) 기업과 중앙부처 정보화 담당자를 대상으로 ‘2018년 전자정부지원사업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아울러 1월 18일에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전자정부 발주제도 개선안이 올해 발주되는 일부 지원사업에도 적용됨에 따라 설명회에서는 지난해 바뀐 발주제도와 함께 올해 바뀔 예정인 개선안을 중심으로 정보화사업 발주제도도 안내한다. 정윤기 행정안전부 전자정부국장은 “이번 사업설명회를 통하여 주관 기관은 사업 내용을 공유하여 우수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 참여 기업은 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추진 전략을 미리 세우는 등 주관기관과 기업 모두 상생(win-win)할 수 있는 행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mois.go.kr/
-
- 뉴 스
- IT VIew
- 인터넷/정보통신
-
2018 전자정부, 655억원 투자해 ‘지능형 정부’ 본격 시동
-
-
구글플레이, ‘2017 올해를 빛낸 앱·게임’ 시상식 개최
- 구글플레이가 12월 7일(목)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2017 올해를 빛낸 앱·게임’ 시상식을 개최하고 각 부문별 최우수상과 대상인 2017 올해의 베스트 앱, 2017 올해의 베스트 게임을 발표했다. 구글플레이는 매해 연말 혁신성, 대중성, 인디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많은 사랑을 받은 앱과 게임을 ‘올해를 빛낸 앱·게임’으로 선정해 발표해왔으며, 2016년부터는 오프라인 시상식을 통해 부문별 최우수상과 대상을 공개하고 있다. 올해 시상식에서는 신설된 ‘올해를 빛낸 인기 앱·게임‘을 포함 앱·게임별로 각 7개 부문의 최우수상과 전체 대상인 ’2017 올해의 베스트 앱·게임'이 발표되었다. ‘올해를 빛낸 인기 앱·게임’ 부문은 구글플레이 홈페이지에서 2주간 진행된 유저 투표를 통해 선정됐다. 올해를 빛낸 인기 앱은 예스튜디오의 샌드박스컬러, 올해를 빛낸 인기 게임은 나이언틱의 포켓몬 고(Pokémon GO)가 수상했다. 샌드박스컬러는 샌드박스네트워크 소속 크리에이터 캐릭터를 직접 색칠할 수 있는 컬러링 앱으로 10대 유저에게 인기를 끌며 정식 출시 3일 만에 구글플레이 엔터테인먼트 분야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포켓몬스터에 증강현실(AR) 기술을 접목한 게임인 포켓몬 고는 올해 1월 국내에 출시된 후 ‘포세권’, ‘포켓몬 성지’ 등 신조어를 탄생시키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앱 부문 대상인 ‘2017 올해의 베스트 앱’은 스노우의 ‘푸디(Foodie)’가 수상했다. 푸디는 음식 촬영에 특화된 앱으로 30개 넘는 필터를 포함 감성적인 요리 사진을 연출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2016년 2월 출시 이후 구글플레이에서 1000만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유저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푸디’ 개발사 스노우의 한상철 푸디 PM은 “사내의 작은 프로젝트로 시작했는데 큰 사랑을 받게 되어 영광이다.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은 회사에 감사하고 푸디를 만들기까지 동고동락한 개발팀과 기쁨을 나누고 싶다”고 수상의 기쁨을 밝혔다. ‘2017 올해의 베스트 게임’은 넷마블게임즈의 ‘리니지2 레볼루션’이 차지했다. 리니지2 레볼루션은 2016년 12월 출시 이후 혈맹, 다양한 던전 등 방대한 게임 콘텐츠로 많은 유저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모바일 대규모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이다. 오영훈 넷마블게임즈 사업개발총괄은 “넷마블 권영식 대표, 조신화 사업본부장, 넷마블 네오 개발진, 그리고 리니지2 레볼루션을 사랑해주신 유저분들에게 감사드린다”며 “출시 1주년을 맞은만큼 다양한 연말, 연초 이벤트를 통해 유저분들께 보답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2017 올해를 빛낸 앱’ 부문별 최우수상에는 △ColorFil(올해를 빛낸 엔터테인먼트 앱) △브런치(올해를 빛낸 소셜 앱) △30일 안에 체중 감량(올해를 빛낸 일상생활 앱) △카카오뱅크(올해를 빛낸 혁신적인 앱) △호갱노노(올해를 빛낸 인디 앱) △핑크퐁! 모양·색깔(올해를 빛낸 패밀리 앱) △샌드박스컬러(올해를 빛낸 인기 앱)가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또한 ‘2017 올해를 빛낸 게임’ 부문에서는 △펜타스톰 for kakao(올해를 빛낸 경쟁 게임) △액스- AxE(올해를 빛낸 대중적인 게임) △마이 오아시스(올해를 빛낸 인디 게임) △안녕 유산균(올해를 빛낸 혁신적인 게임) △클럽 오디션(올해를 빛낸 캐쥬얼 게임) △Toca Life: Hospital(올해를 빛낸 패밀리 게임) △Pokémon GO(올해를 빛낸 인기 게임)가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각 부문의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민경환 한국 안드로이드 앱·게임 비즈니스 총괄은 “올 한 해는 생활 밀착형 앱에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결합된 형태의 앱이 강세를 보였으며 게임 부분에서는 MMORPG 장르의 강세와 더불어 다양한 장르의 인디 게임과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캐쥬얼 게임이 많은 사랑을 받았다”며 “앞으로도 유저가 다양한 앱과 게임을 발견하고 개발자가 많은 유저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구글플레이의 ‘2017 올해를 빛낸 앱·게임’은 구글플레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글 개요 구글의 미션은 전 세계의 정보를 체계화하여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글은 검색, 지도, 지메일, 안드로이드, 구글플레이, 크롬, 유튜브 등의 서비스 및 플랫폼을 통해 수십억 사람들의 일상 속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구글은 알파벳 주식회사의 자회사이다. 웹사이트: http://www.google.co.kr
-
- 뉴 스
- IT VIew
- 인터넷/정보통신
-
구글플레이, ‘2017 올해를 빛낸 앱·게임’ 시상식 개최
-
-
삼성SDS, 서울시 블록체인 사업 수주
- 삼성SDS가 국내 기업 최초로 블록체인 사업을 금융, 물류, 제조업에 이어 공공 분야까지 확대한다. 삼성SDS(대표 홍원표)가 서울시가 블록체인 기술을 행정 업무에 접목하기 위해 발주한 ‘서울시 블록체인 기반 시정혁신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사업을 수주했다고 26일 밝혔다. 서울시는 이번 사업에서 복지, 안전, 교통 등 전체 시정업무를 대상으로 블록체인 적용이 가능한 미래 모델을 발굴·설계하고 사업 효과와 타당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미취업 청년 수당지급과 장안평 중고자동차 매매 등 개인정보 활용이 필요한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을 우선 적용한 후 2022년까지 전체 시정 업무에 확산하여 시민 편의성과 행정 투명성을 강화하고자 한다. 삼성SDS는 서울시와의 계약에 따라 5개월 동안 서울시 시정 전반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확산하기 위한 환경을 분석하고 미래모델 설계 및 체계적인 이행계획 등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정부, 공공기관에서 최초로 블록체인 도입을 위한 로드맵 수립이라는 상징성 때문에 국내 IT 기업뿐만 아니라 시민의 실생활과 밀접한 금융, 유통, 제조 등 많은 기업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아왔다. 삼성SDS는 자사의 블록체인 플랫폼 NexledgerTM(넥스레저)를 올해 초 삼성카드에 처음으로 상용화한 데 이어 지난 달 현대상선, 남성해운, SM상선의 수출물량을 대상으로 블록체인을 적용한 시험 운항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바 있다. 또한 제조기업인 삼성SDI의 전자계약시스템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는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지난 11월 3일 삼성SDS가 은행연합회와 계약한 ‘은행권 공동 블록체인 인증 사업’과 관련해 여러 글로벌 금융기관에서 문의하는 등 금융권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삼성SDS 홍원표 대표이사는 “삼성SDS는 자체 보유한 블록체인 기술과 컨설팅 역량을 통해 시정업무 투명성과 공정성, 시민 편의성을 강화하여 서울시가 세계 일류 도시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SDS는 지난 6월 특별 초청받은 ‘Money 20/20 Europe’ 행사에서 홍원표 대표가 기조 연설자로 나서 보험청구, 지불자동화, 디지털 물류와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접목한 전자결제 등 블록체인의 확산 모델을 제시하는 등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힘을 쏟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ds.samsung.co.kr
-
- 뉴 스
- IT VIew
- 인터넷/정보통신
-
삼성SDS, 서울시 블록체인 사업 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