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스Home >  뉴 스 >  정치
실시간뉴스
-
-
인터뷰ㅣ여의도에 묻다 - 강은미 정의당 의원
- 2006년 제5대 광주광역시 서구의회 의원으로 정치에 입문,2020년 21대 정의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했다.현재는 보건복지위, 연금개혁특별위소속되어 정의당 원내대변인을 맡고있다. 정의당 소속의 강은미 의원은 21대 비례대표 초선으로 2020년도에 국회에 입성했다. 그동안 대표발의 의안 83건, 공동발의 의안 519건으로 왕성한 의정활동을 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에 관한 이슈와 국내 정치권의 논란에 맞춰 국회내에서도 초당적 의원 모임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 8월 10일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그를 만났다. ▲ 국회의원회관 정의당 강은미 의원실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에 관한 인터뷰 중 핵오염수 해양투기 저지를 위해 출전한 일본에서 보고들은 그들 사회의 여론과 동향, 그리고 방일 기간동안 성과? 저는 지난 6월 대한민국 정치인 최초로 후쿠시마 원전 출입,과 일본 정당 및 시민사회와 함께 국제연대를 추진한 바 있다. 이어서 지난 7월 11일 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 등과 핵 오염수 저지를 위한 초당적 의원모임을 제안하고 '핵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한일시민연대를 위한 일본 방문단'을 꾸렸다. 7월 29일부터 4박5일 간의 일정으로 다녀왔는데 첫날(29일)은 후쿠시마현 이와키시 노동복지관에서 노동조합, 정당, 시민사회단체와 간담회를 진행하였으나, 이때 우리는 오히려 일본 시민들과 정당들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투기를 막아내기 위한 간절하고 뜨거운 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서 우리는 일본시민과 한국시민이 함께 바다를 지켜야 한다며, 함께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방일 기간동안 지켜본바에 의하면 일본 시민사회에서도 찬반여론은 반반이다. 그러나 IAEA 보고서 이후 해양투기가 기정사실화 되면서 찬성하는 쪽과 반대하는 쪽 각각은 그들만의 이유로 해서 더욱 굳건해지는 분위기이다. 그러나 조금씩 반대하는 측의 주장이 서서히 설득력을 얻어 가고 있는 분위기이다. 육지에 보관할 장소가 충분하고, 안전하다고 보는 보고서 자체가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2015년도에 일본정부와 도쿄전력이 이해관계자인 어민들의 승낙없이는 해양투기를 하지 않겠다는 약속에 대해서 일본사회의 여론은 지켜야 한다는 쪽으로 70% 이상 부각되면서 기울려 지고 있다.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투기 결정에 대한 정의당의 입장은? 해양투기를 막아내야 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해양투기를 막기 위해서 국제 연대를 추진하고 있다. 무엇보다 일본 내에서 목소리를 내게 하기 위해서 지난 6월에는 일본 의원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을 만나서 지금까지 일본 어민들과 줌 회의도 하고 있다. 그 외에도 동남아 국가들과 함께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보고 있으며, 아시겠지만 7월에는 마셜제도, 뉴질랜드 당대표와 대사관을 직접 방문하여 우리가 함께 할 것을 요청하고 앞으로 더욱 확대해 나갈 생각이다. 그러나 현재 상황으로 보면 해양투기가 기정사실화 되어있다. 그러면 해양투기 이후에 우리 사회가 어떤 대책을 내놓아야 할지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더욱 심화하여 다음주 중에 있을 기자회견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 의원님이 주도한 핵 오염수 저지를 위한 초당적 의원모임의 성격과 향후 활동 계획? 해양투기를 막기위한 우선책의 하나로 해양투기의 주체인 도쿄전력과 일본정부를 압박하는 방식에 대한 국제연대가 필요하다. 이 문제를 놓고서 우리 의원들이 근원적인 접근을 위해 공동으로 협의해 나가자는 데에 의견을 모으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 우리는 일본정부의 해양투기 저지를 위해 한국과 일본 의회간의 연대와 태평양 주변국들의 반대의견을 모아낼 것이다. 전문가, 과학자들과의 간담회 등을 통해 IAEA 보고서의 문제점을 알리고 오염수 해양투기가 결코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시민들에게 알려 나갈 것이다. 국민의 건강권을 걱정하는 다수 시민들, 일본의 해양투기로 인해 생존권을 걱정해야 하는 어민들과의 연대를 통해 정부의 입장을 바꿔내겠다. 국민의 건강권과, 어민들의 생존권, 미래세대에게 물려줄 깨끗한 바다를 위해 정당과 정견을 뛰어넘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를 위한 의원모임에 함께 할 것을 제안드린다. ▲ 3일차(7월 31일) 일본 총리 관저 앞에서 오염수 해양투기 계획의 철회 요구. (IAEA는 보고서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결과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는다고 밝히고 일본정부는 IAEA가 검증을 해줬다고 한다. 책임을 서로 미루는 순환논법이고, 명백한 논리적 모순이다. 우리 정부가 오염수 방류에 대해 오히려 지지하는 입장의 근본적인 이유? 현 정부가 국민을 위해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반증이겠지요! 심지어는 일본 국회의원도 대한민국 국회에 와서 한국 국민들이 80%가 반대하고 한국에 전혀 도움 되지않는 문제인데 왜 한국 대통령은 일본 정부보다 더 열심히 후쿠시마 오염수가 안전하다고 대응하는 것인지 자기가 보기에도 이해 않된다는 취지로 우리 국회에 와서 질문하는 실정이다. 일본 시민들도 왜 한국 정부가 그러는 건지 정말 이해할 수가 없다는 질문들을 방일기간 동안 수 없이 들었던 문제이기도 하다. 그것은 일본 정부의 태도에서도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이기는 마찬가지이다. 해양투기시 정부기금이 7천5백억원이고 도쿄전력이 4조에서 5조원을 마련한다는 건데 왜 육지보관 비용 3조 몇천억원을 훨씬 능가하는 비용을 들어서라도 한사코 해양투기를 할려고 하는 것인지 정말 납득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수산업 관련하여 1년 매출이 약 8조원이고 피해 예상액은 50%의 4조원 이상 손해를 볼 것인데 우리는 아무 이득없이 우리 어민들과 수산업자들의 피해에 대해서 국가가 책임질 수도 없으면서 그것을 찬성한다는 것은 대통령으로서 자격이 없다. 실질적으로 방류가 되어 어민들과 수산업자들에게 피해를 입힌다면 저는 대통령직에서 물려나야 된다고 생각한다. 역설적으로 대통령은 표면적인 현상에 숨어서 한미일 군사동맹을 위한 전위 단계에 맞춰 세계 범죄를 저질려는 일본 행위에 동조해버리는 것은 반드시 지적받아 마땅하다고 본다. 그렇다면 국제여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의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 감행이 결코 과연 돈, 즉 경제적손실 문제가 아닌 것으로 파악해야 하나? 우리나라는 핵 연료를 재처리 할 수 없으나, 일본은 핵 연료를 재처리 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 핵 연료를 재처리한다는 것은 핵무기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현실이 된다는 얘기이다. 그렇게 되면 핵무장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것이 단순 돈의 문제라면 육지에 보관하는 비용 3조 몇천억 보다 자국 어민들에게 보상해야 하는 금액이 훨씬 더 큰 문제를 선택하지는 않았을 것으로 본다. 향후 30년간 오염수 투기하겠다고 하니 결국은 그 안에 핵재처리시설을 가동하여 나올 삼중수소를 처리하기 위한 선제적인 수단으로 사용할려는 꿍꿍이로 해석 될 개연성은 매우 크다. 오염수 해양투기와 관련한 총평과 오염수 해양투기의 가장 큰 문제점? 한마디로 일본이 인류에게 범한 범죄다. 그것은 대한민국의 국익만을 위한 반대가 아니라 전세계 인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그 만큼 크기 때문에 반드시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해양수산물의 섭취량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가 일본과 우리나라이다. 그렇기 떄문에 우리 국민들을 보호하는 입장에서도 이 문제를 바라보아야 한다. 일각에서는 IAEA의 보고서가 과학이라고 하는데 실질적으로 들여다 보면 IAEA 주장은 전혀 입증되지 않은 오류 투성이다. 안전하다고 하는 주장은 입증되지 않으면 오히려 비과학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일본이 제공한 자료를 근거로 발표한 보고서에 지나지 않는 것을 과학이라며 그것을 따라서 관리하면 된다는 식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렇게 관리될 수 있는지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일례로 핵발전소 인근 지역에서 그동안 암발생율과 기형아 발생율이 높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주지의 사실이다. 이렇듯 잘 관리되고 있는 삼중수소 마져도 사실상은 큰 문제인데 하물며 후쿠시마 오염수는 어떻겠는가? 후쿠시마 오염수는 핵에 닿은 물로서 일종의 핵폐기물이다. 핵폐기물을 인류가 다 같이 사용하는 바다에 버린다는 것은 절대로 허용 되어서는 안된다. ▲ 원전 핵사고 지역을 둘려보고 있는 강은미 의원이 7월30일 후쿠시마 미나미정 초등학교 방문, 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피해가 그대로 남아있다. 인근국가 최접견국인 우리나라 정부의 공식적인 반대의사 표명에 따라서 일본 정부의 태도가 빠뀔 수도 있는가? 국제법으로 보면 런던협약과 런던의정서에 의해서 해양구조물에서 해양 쓰레기 투기를 못하게 되어있다. 일본이 주장하는 것은 1km에 달하는 해저터널은 해양 구축물이 아니라서 배출해도 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우리가 봐서는 명백한 해양구축물이다. 결국 입장의 차이이고 기준의 차이이다. 그래서 우리정부가 일본의 입장과 주장을 인정하는냐 아니냐는 굉장히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도 있다. 독극물인 방사능은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은 반감기가 있는데 바닷물에 희석시킨다고 해서 독극물이 아닐 수는 없다. 그 독극물은 플랑크톤이나 물고기 등의 해양생물에게 축적이 되고 그 축적된 방사능 수치는 결국 최종 포식자인 사람에게 내부피복을 초래하는 결과로 귀결된다. 특히 세슘 같은 경우에는 반감기가 30년이다. 그 안에 육지에서 보관하는 동안 더 과학적인 처리방법이 나올 수도 있고 그 사이 해양생물과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줄어들 수 있는데도 왜 일본 정부는 그토록 해양투기를 감행하고자 하는지, 이는 국제적으로 환경을 생각하는 과학자들의 입장에서도 이해할 수 없다는 스탠스를 취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문제를 통해 원자력 발전소와 관련된 국내외의 안전 및 환경 이슈를 재검토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나? 그렇다면, 어떤 점들이 개선되야 하나? 실상은 우리가 관심을 갖지않는 동안 수 많은 핵발전소 가동 국가들에 의해서 핵 폐기물이 바다에 투기 되어왔다. 앞서 핵발전소에서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삼중수소의 안전문제도 따지고 보면 전혀 안전하지가 않다. 해서 우리 바다는 알게모르게 엄청나게 많이 더럽혀져 왔다. 더 이상 바다가 더렵혀져서는 안된다. 모든 발전소는 바닷가에 있고 기후위기 못지 않게 더 심각한 핵발전소의 핵사고는 모두 바다에 투영된다. 그로 인해 세계가 연결되어 있는 바다의 안전은 인류의 안전이기 때문에 저는 개인적으로 핵발전소를 축소하고 고전 핵폐기물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국제적으로도 국지적으로도 협의가 필요하다. 이번 참에 우리 인류가 핵무기와 원자력발전소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과연 있는지도 재고해 봐야한다 . 5대 핵강국인 미국,영국,일본,소련,프랑스 중에서도 벌써 3개국에서 중요한 핵사고가 일어난 만큼 우리나라도 안전하다고 볼 수가 없다.
-
- 뉴 스
- 정치
- 국회/정당
-
인터뷰ㅣ여의도에 묻다 - 강은미 정의당 의원
실시간 정치 기사
-
-
몽골 법무부, 법제처와 함께 MOU 이행방안 논의
- 담비 돌리그자브(Dambii Doligjav) 몽골 법무부 장관, 간볼드 바샨자브(Ganbold Baasanjav) 주한 몽골 대사 등이 이끄는 몽골 대표단 7명이 21일 법제처(처장 제정부)를 방문했다.몽골 대표단은 법제처의 법령 심사기준 및 해석제도 등 대한민국 법제 업무 프로세스에 큰 관심을 보이며, 양해각서의 구체적 이행 방안을 논의하는 등 교류협력을 강화하기를 희망했다.법제처는 입법절차와 법령심사 기준, 국민참여입법시스템 등 법제 정보기술(IT)의 인프라 구축 노하우를 소개했고, 1960~70년대 대한민국 경제성장을 뒷받침한 법제가 망라된 책자(‘고도성장기 법제’ 및 ‘행정법제 60년사’)를 제공하여 관련 법제정보를 상호 공유했다.이에 돌리그자브 법무부 장관은 “한국의 법제 발전 경험은 유사한 발전 과정을 거치고 있는 몽골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전문가 파견, 법령정보기술 공유 등을 신속히 추진하여 양 국가 간 법제 교류협력의 확대를 희망했다.제정부 처장도 간담회에 참석하여 “법제 분야의 협력은 양국 간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그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이번 몽골 대표단의 방한을 계기로 전문가 교류, 법제교육 연수 등 실질적인 법제 교류협력을 확대하고, 나날이 증대되는 양국의 경제협력과 문화교류를 뒷받침할 수 있는 법제도적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말했다.한편 법제처는 그간 몽골 법무부와 꾸준한 상호 교류를 통해 양국 법제협력을 확대해 왔으며, 2014년 양해각서를 체결한 후 법령정보 공유 및 현지 방문 특강 등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또한 2012년에는 몽골의 요청에 따라 ‘말산업 육성법’ 등 관련 법령을 몽골어로 번역·제공하는 등 몽골의 법제 개선을 지원했다.앞으로 법제처는 몽골 등 우리 법제에 대한 수요가 큰 아시아 국가들과 법제경험의 공유를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법제 한류(法制韓流)를 더욱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
- 뉴 스
- 정치
- 외교
-
몽골 법무부, 법제처와 함께 MOU 이행방안 논의
-
-
한국 중장기 외교전략의 평가 및 발전방안 컨퍼런스 개최
- 외교부는 동아시아연구원(EAI)과 공동으로 오는 10월 21일 서울 웨스틴 조선 호텔에서 ‘한국 중장기 외교전략의 평가 및 발전방안 컨퍼런스’를 개최할 예정이다.금번 컨퍼런스는 현 정부 3년차의 변화하는 외교안보 환경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우리 외교가 추진해야할 외교전략의 비전과 목표, 과제들을 점검하기 위한 자리로, 이날 오전 개회식에서는 하영선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의 환영사와 윤병세 외교부장관의 기조연설이 있을 예정이다.윤 장관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지난 2년 반 동안 우리 외교가 꾸준히 추진해 온 우리 주요 외교정책의 성과를 돌아보고, 남은 2년 반 동안의 주요 과제를 제시할 예정이다.외교부는 이번 컨퍼런스가 현 정부에서 추진되어 온 우리 외교전략의 전반을 되돌아보고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는 데 유익한 토론의 장이 될 것을 기대하며, 동 컨퍼런스를 통해 제기된 의견은 향후 우리 외교정책에 참고해 나갈 계획이다.
-
- 뉴 스
- 정치
- 외교
-
한국 중장기 외교전략의 평가 및 발전방안 컨퍼런스 개최
-
-
세계 군위성통신 컨퍼런스 2015 개최
- 11월 3일부터 5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SMi Group Ltd. 주최의 세계 군위성통신 컨퍼런스 (Global MilSatCom 2015)가 11월 3일부터 5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다.이번 행사는 유럽의 주요 군위성통신 컨퍼런스 및 전시회로, 군/산업 분야에서 400여명의 관계자가 참가할 전망으로 군위성통신의 현재 및 미래에 대해 다룬다. 군관계자는 각종 국가 프로그램의 개요, 기능 및 능력과 요건, 저예산·다요건 관련 문제 등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호스티드 페이로드 이용 동향, 상호운용성, 보호 위성통신, 연합 협력에 의한 비용 절감·능력 강화의 동시 실현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이번 행사를 통해·위성통신 관련 문제에 대한 현재 및 향후의 군·산업간 협력에 대한 현황을 파악·최신 주제에 대해 발표되는 40개 이상의 발표를 들을 수 있으며 400명 이상의 방위 산업 고위 관계자, 위성통신 주요 사업자를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다.(주)글로벌인포메이션은 이번 행사를 소개하며 참가신청도 함께 접수하고 있다. 문의 02-2025-2995, conference-korea@gii.co.jp행사 홈페이지 www.giievent.kr/smic336822/
-
- 뉴 스
- 정치
- 북한/국방
-
세계 군위성통신 컨퍼런스 2015 개최
-
-
제3차 북극써클회의, 정부대표단 참석
- 10월 16일(금)~18일(일)간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개최되는 제3차 북극써클(Arctic Circle) 회의에 김찬우 북극협력대표를 단장으로 하는 정부대표단이 참석 예정이다.금번 회의에는 각국의 정부인사, 전문가 등 1,500명이 모여 △북극개발 및 경제, △기후변화 및 환경, △북극항로 및 교통협력분야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우리나라는 금번 북극써클회의 계기에 10.17(토) 우리문화의 다채로움을 소개하는 ‘한국의 밤(Korean Night)’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금번 한국의 밤 행사는 금년초 그림손(Grimsson) 아이슬란드 대통령의 특별 요청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 것으로, 동 행사에 그림손 대통령도 직접 참석하여 환영사를 할 예정이다.동 문화행사는 부산국립국악원 공연단의 전통음악 및 고전무용, 그리고 비보이 공연단(무대위 사람들)의 비보잉 댄스로 구성될 예정으로, 우리나라의 전통 및 현대문화를 전세계 참석자들에게 소개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동 회의 계기에 김 대표는 스바인손(Sveinsson) 아이슬란드 외교장관을 예방하여 북극써클의 발전 방향 및 이에 대한 한국의 기여 그리고 한-아이슬란드 간 여타 분야에서의 협력방안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우리나라는 금번 북극써클 회의 참석 및 한국의 밤 행사 개최를 통해 우리의 북극 정책과 비전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북극항로 상용화 및 북극권 자원개발 등 향후 우리의 북극진출과 관련하여 북극권 국가들과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
- 뉴 스
- 정치
- 외교
-
제3차 북극써클회의, 정부대표단 참석
-
-
외교부 공관장 인사
- 외교부 공관장 인사 ※ 공관명 가나다순△주과테말라대사 이운호(李云鎬) (現 무역위원회 상임위원)△주그리스대사 안영집(安泳集) (前 駐제네바차석대사)△주노르웨이대사 박해윤(朴海潤) (現 駐아일랜드대사)△주니카라과대사 홍석화(洪錫華) (前 駐칠레공사)△주방글라데시대사 안성두(安聖斗) (現 駐두바이총영사)△주스웨덴대사 남관표(南官杓) (前 서울시 국제관계대사)△주스위스대사 이상규(李相圭) (前 외교부 평가담당대사)△주아일랜드대사 허강일(許康日) (現 국립외교원 교수부장)△주아제르바이잔대사 김창규(金昶圭) (前 駐키르기즈대사)△주아프가니스탄대사 진기훈(秦基勳) (前 駐타이뻬이부대표)△주오이시디대사 윤종원(尹琮源) (前 국제통화기금(IMF) 상임이사)△주이란대사 김승호(金勝鎬) (前 양자경제외교국장)△주인도대사 조현(趙 顯) (前 駐오스트리아대사)△주케냐대사 권영대(權寧大) (前 駐브라질공사참사관)△주태국대사 노광일(魯光鎰) (現 외교부 대변인)△주고베총영사 주철완(朱哲完) (前 駐일본참사관)△주이스탄불총영사 차영철(車榮哲) (現 駐아프가니스탄대사)(이상 17명) 홈페이지: http://www.mofa.go.kr
-
- 뉴 스
- 사회
- 사회일반
-
외교부 공관장 인사
-
-
한글날 맞이 ‘국어문화학교’ 개최
- 방위사업청(청장 장명진)은 한글날을 맞이하여 10월 7일 청 직원들에게 올바른 공공언어 사용에 대한 교육과 국어 사랑의 마음을 북돋우기 위해 사업관리본부(본부장 박신규) 주관으로 ‘국어문화학교’를 개최하였다. 이번 교육은 국립국어원에서 지원한 전문 강사가 ‘우리말이 생명이다’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였고 우리말의 우수성과 소중함, 국어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 국어를 국어답게 쓰는 방법을 주요 내용으로 다루었다. 이번 교육을 통해 ‘오프너-병따게’, ‘컬러-색깔’처럼 우리말로 표현할 수 있음에도 습관적으로 외국어 또는 외래어를 쓰거나 ‘ ~을 필요로 하다’, ‘~ 중에 있다’ 와 같이 번역 투 표현임을 알지 못한 채 사용하고 있는 우리의 현재 언어문화를 되짚어보았다. 또한 ‘명일-내일’, ‘구보-뜀걸음’과 같이 잘못된 표현은 아니지만 순화가 가능한 말도 살펴보았다. 교육에 참석한 한 직원은 “그동안 외국어는 제대로 쓰기 위해 노력했지만 우리말을 올바로 쓰기 위해 노력한 적은 없었던 것 같다. 앞으로 우리말을 더 소중하게 여기고 바르게 쓰겠다”라고 교육 소감을 전했다. 사업관리본부는 이번 교육을 계기로 공문서 등 업무 간 사용하는 용어와 표현에 국어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는 없는지 살펴보고 바르고 쉬운 우리말 보전을 위해 꾸준히 노력할 것을 다짐하였다.
-
- 뉴 스
- 정치
- 북한/국방
-
한글날 맞이 ‘국어문화학교’ 개최
-
-
바다의 공중급유기 최첨단 군수지원함 명명식 열어
- 하늘의 공중급유기처럼 바다에서 이동중인 함정에 급유가 가능한 최첨단 함정이 우리 기술력으로 건조되었다.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이 지난 2012년 영국해군으로부터 수주한 군수지원함(MARS 프로젝트) 4척 중 1호함의 명명식이 7일 옥포조선소에서 열렸다.이 함정은 발주 당시 영국해군이 자국 조선소가 아닌 외국에 사상 처음으로 발주한 군함으로 화제를 모았다. 세계를 제패했던 영국해군이 신흥 조선강국인 대한민국에 군함을 발주 한 자체가 큰 이슈였다. 계약 규모도 총 8억 달러에 달했다.이 함정은 길이 200.9m, 폭 28.6m, 3만 7,000톤급 규모로 최고 17노트(31km/h)의 속도로 최대 7,000해리(약 1만 3,000km)까지 작전이 가능하다.특히 바다의 공중급유기로 불리는 이 함정의 가장 큰 특징은 15노트(28km/h)의 속도로 운항하면서 항공모함을 포함해 2척의 함정에 동시에 유류 및 청수를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2중 추진시스템을 적용해 엔진과 프로펠러가 손상되어도 6노트(11km/h)의 속도로 항구로 귀환할 수 있는 기능을 갖췄다. 화학 공격에 대한 방어능력을 갖추고 극지방을 비롯한 전세계 어느 지역에서도 작전 수행이 가능하다.이 같은 최첨단 기능이 탑재된 함정을 건조할 수 있는 조선소는 국내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이 유일한 것으로 평가 되고 있으며, 전세계로 눈을 넓혀도 미국 등 일부 국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때문에 지난 2014년 11월 엘리자베스 여왕의 막내아들인 에드워드 왕자가 대우조선해양을 방문해 건조 상황을 직접 점검할 만큼 영국에서도 관심이 높은 사업이다.이날 특수선 안벽에서 열린 명명식에는 마이클 세실 보이스(Michael Cecil Boyce) 전 영국합참의장, 조지 잠벨라스(George Zambellas) 영국 해군참모총장을 비롯한 영국해군 관계자, 김한표 국회의원, 장명진 방위사업청장, 권민호 거제시장 등 외부인사와 정성립 사장을 비롯한 회사 관계자 80여 명이 참석했다. 이 함정은 명명식 대모로 참석한 보이스(보이스 전 영국합참의장의 부인)여사에 의해 타이드스프링(Tidespring)호로 명명됐다.타이드스프링호는 마무리 작업을 거쳐 내년 1월초 인도되어 영국해군이 보유중인 구형 군수지원함의 역할을 대체하게 된다.명명식에 참석한 정성립 사장은 “영국해군이 이정도 수준의 최첨단 함정을 대우조선해양에 발주한 것만 보더라도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은 것”이라며 “MARS 프로젝트는 대우조선해양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신인도에도 영향을 주는 국가적 사업인 만큼 최선을 다해 마무리 하겠다”고 말했다.대우조선해양은 이 함정을 수주한 이후 세계적으로 높은 함정 건조 기술을 인정받아 노르웨이 해군으로부터도 군수지원함을 수주했으며, 호주, 뉴질랜드 등 영연방 국가를 대상으로 활발한 수주활동을 전개하며 함정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특히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2011년 대한민국 최초로 인도네시아에 잠수함을 수출하고, 작년에는 세계 최초로 러시아 야말 프로젝트에 투입될 쇄빙 LNG선 15척을 일괄 수주하는 등 세계 조선 역사를 매년 새롭게 써내려오고 있다.한편 이날 명명식과 함께 선임감독관인 영국해군 제임스 콜린스(James Collins·60) 대령은 권민호 거제시장으로부터 명예시민으로 위촉받기도 했다.
-
- 뉴 스
- 정치
- 북한/국방
-
바다의 공중급유기 최첨단 군수지원함 명명식 열어
-
-
한국, 세계백신면역연합에 3년간 총 1,200만불 지원 결정
- 우리 정부는 백신 접종 및 보급을 통한 대개도국 보건의료지원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세계백신면역연합(Global Alliance for Vaccines and Immunization, 이하 GAVI)에 향후 3년간 총 12백만불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외교부 이용수 개발협력국장은 10.6(화) 제네바 GAVI 본부에서 세스 버클리(Seth Berkley) GAVI 대표와 관련 약정서 수정안에 서명했다.정부는 국제빈곤퇴치기여금을 활용하여 2010년부터 GAVI에 대한지원을 시작하여 작년까지 총 300만불을 지원하였으며, 금년부터는 연 400만불규모로 지원금액을 대폭 확대한다.※ 국제빈곤퇴치기여금은 국내 출발 국제선 항공권 1매당 1천원을 부과하여 개도국 개발협력 사업에 활용하는 기금으로 연간 약 200억원의 재원 조성GAVI에 대한 지원 증액은 7월 31일 개최된 제8차 국제빈곤퇴치기여금 운용심의위원회에서 결정되었으며, 심의위원들은 아동 보건이 우리정부의 개발협력에 있어 높은 우선순위를 차지하고 있고, GAVI가 백신 접종 및 보급 분야에서 효과적인 사업 수행 능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GAVI가 한국기업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만장일치로 동 건을 통과시켰다.GAVI는 2000년 개도국에 백신을 지원하여 아동의 생명을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혁신적 민관협력 기구로서 공여국과 민간재단의 지원금을 활용하여 시장가격에 비해 대폭 저렴한 가격으로 백신을 구입, 개도국에 지원해주고 있다. GAVI는 현재까지 전세계 약 5억명의 어린이에게 예방접종을 실시해 700만명 이상의 영유아 사망을 예방해왔다.※ GAVI는 2002년부터 2014년까지 북한에 총 2,613만달러(백신 71%, 기타 29%)를 지원했으며, 2020년까지 약 2,800만달러를 추가로 지원할 예정또한 GAVI는 국내 바이오 기업들과의 백신공급계약 체결 등 한국 기업들과도 긴밀히 협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협력은 국내 생산 백신의 해외시장 진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우리 정부는 지난 9월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회의 주최 및 동 회의 계기 ‘모두를 위한 안전한 삶’ 구상(향후 5년간 개도국 보건분야에 1억불 지원) 발표, 에볼라 해외긴급 구호대 파견 등 국제보건분야에서 중견 공여국으로서의 역할과 기여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금번 GAVI 기여 증액은 개도국 어린이의 소중한 생명을 구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GAVI의 대북 인도적 지원, 한국기업과의 협력 강화 등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뉴 스
- 정치
- 외교
-
한국, 세계백신면역연합에 3년간 총 1,200만불 지원 결정
-
-
현역의원 재출마 지지도 조사결과 발표
- 내년 총선 현역의원 재출마, 42.8% 지지 안하겠다 내년 4월에 치러지는 제 20대 국회의원 총선거와 관련하여, 다음 10월 16일이 D-180인 시점에서 내년 총선거에 현 지역의원이 출마한다면 지지하겠냐는 물음에 지지하지 않겠다는 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는 지난 9월 22일~23일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 현역 국회의원이 내년 국회의원 총선게에 재출마한다면 지지할지’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지지하겠다’는 의견이 24.2%, ‘지지하지 않겠다’는 의견이 42.8%로, 현 지역 국회의원이 내년 총선에 출마한다면 지지하지 않겠다라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는 의견으로 아직은 지지여부를 유보한 의견은 26.5%, ‘잘 모름’은 4.5%였다.이번 조사에서 ‘지지하겠다’라는 의견으로, 경남권(29.8%)과 경기권(27.9%), 60대 이상(36.0%)과 50대(29.7%), 농/축/수산업(32.5%), 전업주부(26.2%)에서, ‘지지하지 않겠다’라는 의견은, 전라권(51.4%)과 서울권(47.2%), 40대(54.0%)와 30대(51.7%), 생산/판매/서비스직(61.5%)과 사무/관리직(56.8%)에서 응답률이 높았다.정당지지도별로는 새누리당 지지 응답자들이 ‘지지하겠다’ 34.4%, ‘지하지 않겠다’ 39.5%, 새정치민주연합 지지 응답자들이 ‘지지하겠다’ 26.2%, ‘부정평가’ 56.7%의 응답률을 나타냈다.이번 조사의 유효 표본은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이며 일반전화 RDD방식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유권자에 기반한 비례할당 후 무작위 방식으로 표본을 추출, 유권자 구성비에 기초한 가중치기법을 적용했다. 응답률은 5.6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9%p이다.
-
- 뉴 스
- 정치
- 국회/정당
-
현역의원 재출마 지지도 조사결과 발표
-
-
2015년 9월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및 정당지지도 조사결과 발표
- 새누리당 지지율 7.6% 하락, 새정치민주연합 7.1% 상승 박근혜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평가가 직전조사와 비교할 때 긍정평가 3.3% 포인트 떨어져 다시 40% 중반대로 돌아왔고, 부정평가는 2.1% 포인트 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당지지도에서는 여당인 새누리당의 지지율이 지난 조사(46.0%)보다 7.6% 포인트 떨어져 38.4%로 30% 후반대에 진입하였고,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의 지지율은 7.1% 포인트 올라 21.7%로 20%대에 진입하였다.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는 지난 9월 22일~23일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정례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조사를 실시했다. ‘잘함’이 44.8%(대체로 잘함 26.1%, 매우 잘함 18.7%), ‘잘못함’이 47.9%(매우 못함 25.6%, 대체로 못함 22.3%)의 응답률이 나왔다. ‘잘 모름’은 7.3%였다.이번 조사에서 긍정 평가는 경북권(57.7%)과 경기권(47.1%), 60대 이상(68.8%)과 50대(63.5%), 농/축/수산업(71.8%), 전업주부(55.1%)에서, 부정 평가는 전라권(61.3%)과 충청권(49.6%), 30대(66.2%)와 40대(65.1%), 학생(97.1%)과 생산/판매/서비스직(63.8%)에서 응답률이 높았다.직전 조사인 지난달 8월 25~26일일 조사한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직전 결과인 ‘잘함’ 48.1%, ‘잘못함’ 45.8%와 비교할 때 긍정 평가는 3.3% 포인트 떨어지고 부정 평가는 2.1% 포인트 오른 수치다.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평가는 지난 8월 조사(48.1%)를 제외하고는 올해 계속 40% 초중반대의 포인트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정당지지도별로는 새누리당 지지 응답자들이 ‘잘함’ 80.5%, ‘잘못함’ 17.4%, 새정치민주연합 지지 응답자들이 ‘잘못함’ 82.9%, ‘잘함’ 13.6%의 응답률을 나타냈다.이와 함께 조사한 정당지지도는 새누리당 38.4%, 새정치민주연합 21.7%, 정의당 3.8% 순이었다. 기타 정당은 6.2%, 지지정당 없음은 29.9%였다.직전 조사와 비교할 때 새누리당(직전 조사 46.0%)은 7.6% 포인트 떨어져 올해 처음 30%후반대에 진입하였으며, 새정치민주연합(14.6%)은 7.1% 포인트 올라 5개월만에 다시 20%대의 지지율을 회복했다. 정의당(3.9%)은 0.1% 포인트 떨어졌으며, 무당층(30.7%)은 0.8% 포인트 떨어졌다이번 조사의 유효 표본은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이며 일반전화 RDD방식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유권자에 기반한 비례할당 후 무작위 방식으로 표본을 추출, 유권자 구성비에 기초한 가중치기법을 적용했다. 응답률은 5.6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9%p이다.모노리서치 소개모노리서치는 2003년에 설립된 ARS 전화설문조사기관이다. 국내 최대 8,000회선의 대용량 ARS 발송시스템과 가장 신뢰성 있는 전국 인명전화번호부를 이용하여 개발된 실시간 ARS 전화설문조사 시스템을 구축하고 누구나 손쉽게 설문작성에서부터 설문발송, 통계분석까지 할 수 있는 ARS 여론조사 원스톱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정치/사회 전반적인 분야에 대해 정기적으로 기획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해당 결과를 온라인상이나 기사를 통해 무상으로 배포하고 있다. http://monoresearch.co.kr http://pr.mono.co.kr http://blog.naver.com/monoin1205
-
- 뉴 스
- 정치
- 국회/정당
-
2015년 9월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및 정당지지도 조사결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