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NSN, 지능형 서비스 가능한 미래 기지국 기술 세계 최초 개발 성공
- 기지국을 플랫폼화 시켜 다양한 기능 탑재 … 네트워크 진화 위한 중요한 발판
- 기지국이 고객에게 제공되는 컨텐츠서비스 인지해 고객맞춤형 서비스 제공 가능
(서울=뉴스와이어) 2013년 09월 23일 -- 똑똑한 두뇌를 갖춘 기지국 기술 개발로 기지국이 단순한 데이터 전송을 넘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하성민, www.sktelecom.com)은 글로벌 통신장비 업체인 NSN과 함께 빠른 데이터 처리뿐 아니라 고객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한 미래 기지국 기술인 ‘지능형 기지국(Service Aware RAN)’을 LTE 및 LTE-A 환경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을 완료하고 시연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능형 기지국’ 은 단순한 무선통신 송수신 장비인 기지국을 하나의 플랫폼 형태로 진화시킨 혁신적인 기술로, 이 기술을 활용하면 하드웨어인 기지국에 가상화 개념을 적용해 여러 기능들을 소프트웨어 형태로 탑재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기지국이 지능형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됐으며, 향후 차세대 네트워크 진화를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지능형 기지국’ 기술이 적용되면 고객과 가장 가까운 기지국에서 고객이 자주 사용하는 컨텐츠서비스를 인지해 바로 제공할 수 있어, 빠른 응답(Low latency)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것은 물론 대용량 데이터의 분산처리를 통해 더욱 쾌적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야구 경기가 열리는 날 인천문학구장에 ‘T베이스볼’ 서비스 이용 고객이 급증하는 것을 인지한 인천문학구장 인근 기지국은 T베이스볼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경기 하이라이트 영상 및 경기 관련 정보 등을 기지국 자체에 저장한다. 저장된 정보는 원거리에 위치한 메인 서버를 거치지 않고 기지국에서 바로 단말로 전달되어, 고객들은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의 최진성 ICT 기술원장은 “지능형 기지국 기술을 통해 고객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기지국들의 컴퓨팅 자원을 활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게 됐다”며,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혁신적인 모바일 라이프 변화를 가져올 미래 네트워크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NSN의 더크 린드마이어(Dirk Lindemeier) 리퀴드 애플리케이션 부문장은 “이번 시연을 통해 NSN의 리퀴드 애플리케이션(Liquid Application) 솔루션이 실제 LTE망에 적용 시 가져올 개선 효과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되었고, 앞으로 차세대 기지국 기술 개발과 관련하여 SK 텔레콤과 지속적인 상호협력을 진행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SK텔레콤과 NSN은 ‘지능형 기지국’ 기술 개발을 위해 지난 ‘12년부터 다양한 연구 및 논의를 진행해왔다.
SK텔레콤은 지난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13 에서 NSN과 ‘지능형 기지국’의 비전 및 핵심 기술인 ‘리퀴드 애플리케이션(Liquid Application)’을 공동으로 발표했으며, 6월에는 세계 최초로 개발된 ‘리퀴드 애플리케이션’을 경기도 분당에 소재한 SK 텔레콤 네트워크 기술원에 설치하고 약 3개월 동안 공동 시험을 진행해 왔다.
또한, SK텔레콤은 지난 3월 이사회 및 의장사로서 주최한 ‘2013 국제 NGMN' 회의에서 ‘지능형 기지국’ 기술을 소개하고 글로벌 사업자 및 제조사의 주목을 받은바 있으며,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개발의 혁신성을 인정받아 지난 6월 영국 런던에서 ‘GTB Innovation Awards’를 수상하기도 했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하성민, www.sktelecom.com)은 글로벌 통신장비 업체인 NSN과 함께 빠른 데이터 처리뿐 아니라 고객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한 미래 기지국 기술인 ‘지능형 기지국(Service Aware RAN)’을 LTE 및 LTE-A 환경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을 완료하고 시연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능형 기지국’ 은 단순한 무선통신 송수신 장비인 기지국을 하나의 플랫폼 형태로 진화시킨 혁신적인 기술로, 이 기술을 활용하면 하드웨어인 기지국에 가상화 개념을 적용해 여러 기능들을 소프트웨어 형태로 탑재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기지국이 지능형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됐으며, 향후 차세대 네트워크 진화를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지능형 기지국’ 기술이 적용되면 고객과 가장 가까운 기지국에서 고객이 자주 사용하는 컨텐츠서비스를 인지해 바로 제공할 수 있어, 빠른 응답(Low latency)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것은 물론 대용량 데이터의 분산처리를 통해 더욱 쾌적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야구 경기가 열리는 날 인천문학구장에 ‘T베이스볼’ 서비스 이용 고객이 급증하는 것을 인지한 인천문학구장 인근 기지국은 T베이스볼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경기 하이라이트 영상 및 경기 관련 정보 등을 기지국 자체에 저장한다. 저장된 정보는 원거리에 위치한 메인 서버를 거치지 않고 기지국에서 바로 단말로 전달되어, 고객들은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의 최진성 ICT 기술원장은 “지능형 기지국 기술을 통해 고객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기지국들의 컴퓨팅 자원을 활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게 됐다”며,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혁신적인 모바일 라이프 변화를 가져올 미래 네트워크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NSN의 더크 린드마이어(Dirk Lindemeier) 리퀴드 애플리케이션 부문장은 “이번 시연을 통해 NSN의 리퀴드 애플리케이션(Liquid Application) 솔루션이 실제 LTE망에 적용 시 가져올 개선 효과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되었고, 앞으로 차세대 기지국 기술 개발과 관련하여 SK 텔레콤과 지속적인 상호협력을 진행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SK텔레콤과 NSN은 ‘지능형 기지국’ 기술 개발을 위해 지난 ‘12년부터 다양한 연구 및 논의를 진행해왔다.
SK텔레콤은 지난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13 에서 NSN과 ‘지능형 기지국’의 비전 및 핵심 기술인 ‘리퀴드 애플리케이션(Liquid Application)’을 공동으로 발표했으며, 6월에는 세계 최초로 개발된 ‘리퀴드 애플리케이션’을 경기도 분당에 소재한 SK 텔레콤 네트워크 기술원에 설치하고 약 3개월 동안 공동 시험을 진행해 왔다.
또한, SK텔레콤은 지난 3월 이사회 및 의장사로서 주최한 ‘2013 국제 NGMN' 회의에서 ‘지능형 기지국’ 기술을 소개하고 글로벌 사업자 및 제조사의 주목을 받은바 있으며,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개발의 혁신성을 인정받아 지난 6월 영국 런던에서 ‘GTB Innovation Awards’를 수상하기도 했다.
출처: SK텔레콤 (코스피: 017670)
홈페이지: http://www.sktelecom.com
SK텔레콤 소개
SK텔레콤은 1984년 국내 최초 1세대 아날로그 이동전화 시대를 개막하여 세계 최초로 CDMA 기술 상용화 성공, 세계 최초 2.5세대 CDMA 2000 1X 서비스와 세계 최초 3세대 동기식 상용화, HSDPA와 HSUPA의 상용화의 신화를 이룩하였다. 또한, SK텔레콤은 기술력 진화와 더불어 글로벌 경쟁 사회에 유연하고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CIC(Company in Company) 제도와 스피디한 의사결정과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직급체계 변화추진으로 매니저 제도 도입이라는 새로운 기업문화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로부터 ‘아시아 최고의 직장(Best Employers in Asia)에 선정, 아시아 월스트리트 저널의 ‘올해의 혁신 기업 1위’로 선정되는 쾌거를 낳기도 하였다. 그리고 고객가치 향상을 위해 변함없는 노력을 지속해 오고 있는 SK텔레콤은 2011년에도 국내 3대 고객만족도 지수에서 모두 지속적인 1위를 수상하는 위업을 달성하였으며, 국가고객만족지수(NSCI)에서 15년 연속 1위, 한국산업고객만족도(KCSI)에서 15년 연속 1위를 달성하였다.
SK텔레콤은 1984년 국내 최초 1세대 아날로그 이동전화 시대를 개막하여 세계 최초로 CDMA 기술 상용화 성공, 세계 최초 2.5세대 CDMA 2000 1X 서비스와 세계 최초 3세대 동기식 상용화, HSDPA와 HSUPA의 상용화의 신화를 이룩하였다. 또한, SK텔레콤은 기술력 진화와 더불어 글로벌 경쟁 사회에 유연하고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CIC(Company in Company) 제도와 스피디한 의사결정과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직급체계 변화추진으로 매니저 제도 도입이라는 새로운 기업문화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로부터 ‘아시아 최고의 직장(Best Employers in Asia)에 선정, 아시아 월스트리트 저널의 ‘올해의 혁신 기업 1위’로 선정되는 쾌거를 낳기도 하였다. 그리고 고객가치 향상을 위해 변함없는 노력을 지속해 오고 있는 SK텔레콤은 2011년에도 국내 3대 고객만족도 지수에서 모두 지속적인 1위를 수상하는 위업을 달성하였으며, 국가고객만족지수(NSCI)에서 15년 연속 1위, 한국산업고객만족도(KCSI)에서 15년 연속 1위를 달성하였다.